Spaced repetition
https://en.wikipedia.org/wiki/Spaced_repetition
공백된 반복은 학습 기술로서 심리학적 공백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이전에 배운 내용을 연속적으로 리뷰하는 사잇시간을 늘리는 것을 말한다. 대체적인 이름은 공백된 리허설, 확장된 리허설, 그레듀에이티드 인터벌, 리피티션 스페이싱, 리피티션 스케쥴링, 스페이스드 리트리벌과 확장된 리트리벌이 있다.
원리는 다양한 컨텍스트에서 유용하지만, 공백된 반복은 아이템의 상당량을 배우고 오랜기간 기억속에 유지해야하는 학습자를 위한 것이다. 그래서 외국어 배우기에서 어휘력문제에 적합하다.
연구와 응용
공백된 반복의 개념은 1932년 메이스 교수가 쓴 공부의 심리학 책에서 처음 소개된 것으로 학습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가장 중요한 발견은 공부의 주기의 적절한 분포에 연관된다는 것을 발견한 점이다. 리비젼의 발생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인터벌에서 공백되어야 하는데, 대략적으로 1일, 2일, 4일, 8일, 등등이다.
1939년 스핏져는 아이오와에서 과학 사례를 학습하는 6학년 학생들에게 실험했다. 스핏져는 3600명이상의 학생에게 테스트한 결과 효과적임을 보여줬다. 이 이른 작업은 많이 알려지지 않았고 1960년대까지 인지 심리학이 등장하기 전까지 조용했다. 멜톤과 랜더우어, 조크가 리콜을 증가시키기 위한 반복 타이밍의 조작에대해 연구했다. 비슷한 시기에 필슬러 언어 과정은 언어 학습에서 공백된 반복에 실제적 응용을 탐험했는데, 1973년 세바스챤 레이트너가 그의 레이트너 시스템으로 플래쉬카드에 기반한 전역 목적의 공백된 반복을 소개했다.
1980년대 개인용 컴퓨터의 접근이 증가하면서 공백된 반복은 컴퓨터 조고 언어 학습 소프트웨어 기반의 해결책으로 구현되어, 자동화된 스케쥴링과 통계적 게더링, 각각 스케쥴된 카드 수천게로 스케일링되었다. 사용자가 목표 레벨을 달성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는 반복 공백 인터벌을 조정한다. 재료 중 어려운것은 더 자주, 쉬운것은 더 드물게, 올바른 반응을 생산할 수 있는 사용자를 통해 쉬움의 정도를 가늠한다.
알고리즘
공백된 반복을 스케쥴링하는데에는 몇가지의 알고리즘이 있다.
- 신경망 기반
https://en.wikipedia.org/wiki/Neural_network
- 레이트너 시스템: 5가지 레벨과 단계의 임의 숫자
https://en.wikipedia.org/wiki/Leitner_system
- 알고리즘의 SM패밀리 (슈퍼메모): SM-0 (논문 구현) 부터 SM-17 (슈퍼메모 17)
https://en.wikipedia.org/wiki/SuperMemo
몇몇은 인터벌이 매우 중요함은 제안되었지만 알고리즘 효과에 정확한 인터벌이 크게 중요하지는 않다. 이 부분에 대한 실험결과는 섞여있다.
핌슬루어의 그레듀에이티드-인터벌 리콜
그레듀에이티드 인터벌 리콜은 1967년에 폴 핌슬루어에의해 공개된 공백된 반복의 한 형식이다. 이 것은 핌슬루어 언어 학습 시스템에서 사용되었으며 처음 몇몇 반복사이에서 아주 짧은 시간에 기인한 프로그램된 오디오 명령에 잘 맞는다. 이런 정확한 타이밍이 요구되지 않는 공백된 반복의 다른 형식과 비교된다.
핌슬루어의 논문에 공개된 인터벌에는 5초, 25초, 2분, 10분, 1시간, 5시간, 1일, 5일, 25일, 4달, 2년이 있다.
소프트웨어
대부분의 공백된 반복 소프트웨어는 물리적 플래쉬카드(질문과 답변 짝으로 이뤄진 것을 프로그램에 입력해 기억할 것들)를 배울 때 메뉴얼한 스타일을 모델하기 위한 것이다. 짝이 리뷰될 때 문제가 화면에 보여지고, 사용자는 답변한다. 답변한 후, 사용자는 수동적으로 해답을 살펴보고 프로그램에게 얼마나 어려웠는지 알려준다. 프로그램은 공백된 반복 알고리즘에 기반해 해당 짝들을 스케쥴링한다. 컴퓨트 프로그램이 없이 사용자는 물리적 플래쉬카드를 스케쥴해야한다. 이는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레이트너 시스템과 같은 단순한 알고리즘으로 사용자를 한정시킨다.
소프트웨어오 관련해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다.
- 질문과 답변은 말로된 단어의 인식을 훈련하기 위한 사운드 파일일 수 있다.
- 짝의 자동적인 생성 (어휘에 대해 3가지 질문을 생성하는 것이 유용한데, 쓰여진 외국어 단어, 그 발음 그리고 뜻 하지만 데이터는 반드시 일단 저장되어야 한다.
- 자동적으로 얻어진 추가 정보가 가용한데 단어를 포함하는 예시 문장이 있다.
- 온라인 커뮤니티 기능인 교과 공유로 공백된 반복을 결합할 수 도 있다.
구현
주목받는 구현은 Anki, Brainscape, Cerego, Course Hero, Lingvist, Memrise, Mnemosyne, Pleco Software, Quizlet, Skritter, SuperMemo, Synap and WaniKani 가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Anki_(software)
https://en.wikipedia.org/wiki/Brainscape
https://en.wikipedia.org/wiki/Cerego
https://en.wikipedia.org/wiki/Course_Hero
https://en.wikipedia.org/wiki/Lingvist
https://en.wikipedia.org/wiki/Memrise
https://en.wikipedia.org/wiki/Mnemosyne_(software)
https://en.wikipedia.org/wiki/Pleco_Software
https://en.wikipedia.org/wiki/Quizlet
https://en.wikipedia.org/wiki/Skritter
https://en.wikipedia.org/wiki/SuperMemo
https://en.wikipedia.org/wiki/Synap
https://en.wikipedia.org/wiki/WaniKani
최근 덧글